본문 바로가기

::protected61

CoreRedirects DefaultEngine.ini 파일에 구성되어 있음. [CoreRedirects] 섹션 ; 개발 도중에 클래스, 함수, 변수 이름이 변경되었을 경우, 해당 레퍼런스를 참조하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해준다. // DefaultEngine.ini [CoreRedirects] // UClass +ClassRedirects=(OldName="MyOldClass",NewName="MyNewClass") +ClassRedirects=(OldName="/Script/MyProject.MyOldClass",NewName="/Script/MyProject.MyNewClass") // UEnum +EnumRedirects=(OldName="EOldNumbers",NewName="ENewNumbers") // UFunctio.. 2023. 7. 3.
Subsystem - UGameInstanceSubsystem.. 서브 시스템 클래스 Engine UEngineSubsystem Editor UEditorSubsystem GameInstance UGameInstanceSubsystem LocalPlayer ULocalPlayerSubsystem World UWorldSubsystem UGameInstanceSubsystem 사용 방법 /* * 1. UGameInstance 생성 이후, UMyGameSubsystem 이 생성됨. * 2. UGameInstance 초기화 시, 서브시스템에서 Initialize()가 호출됨. * 3. UGameInstance 종료 시, 서브시스템에서 Deinitialize()가 호출됨. * 4. 이 시점에서 서브시스템에 대한 참조가 삭제되고 더이상 참조가 없으면 가비지 컬렉션됨. */ cl.. 2023. 6. 30.
콘솔 명령어 / 콘솔 변수 /** * 콘솔 명령어 * @param 명령어 이름 * @param 명령어 설명 * @param 함수 호출시 실행될 델리게이트 * @param 플래그 값 */ FAutoConsoleCommnad CommandTest( TEXT("CommandTest"), TEXT("콘솔명령어 테스트"), FConsoleCommandWidthArgsDelegate::CreateLambda({}(const TArray& Params) { FString ParamStr; for (const FString& Param : Params) { ParamStr += Param; } UE_LOG(LogTemp, Log, TEXT("Command Test! Param : [%s]"), *ParamStr); }), ECVF_Default.. 2023. 6. 29.
Niagara.. *나이아가라는 언리얼 엔진의 차세대 VFX 시스템.(정리중..) 4가지 핵심 컴포넌트 - 시스템 ; 나이아가라 시스템은 여러 개의 이미터 모두가 하나의 이펙트로 결합된 컨테이너 - 이미터 ; 모듈에 사용하는 컨테이너, 단일 용도이지만 재사용할 수도 있음 - 모듈 ; 나이아가라 VFX의 기본 레벨, 일반적인 데이터에 대응하며, 동작을 캡슐화하고, 다른 모듈과 스택을 이루고, 함수를 작성함 - 파라미터 ; 나이아가라 시뮬레이션에서 데이터를 추상화한 것 이벤트 - 위치 이벤트 - 소멸 이벤트 - 콜리전 이벤트** ; 콜리전 이벤트 생성(Generate Collision Event) 모듈을 이미터의 파티클 업데이트 그룹에 배치했다면 파티클은 스태틱 메시나 스켈레탈 메시 등의 액터와 충돌할 때 이벤트를 생성함. .. 2023. 6. 27.
메모리 관리 언리얼에선 UObject 클래스로부터 파생된 클래스와 액터의 메모리를 자동으로 관리해준다. 수집된 잔여 메모리(GC)를 시스템에 반환하지 않고 풀링하고, 새로운 메모리를 필요로 할 때 메모리 풀에서 먼저 가져온다. UObject 에서 파생되지 않은 클래스를 작성할 땐 TSharedPtr, TWeakPtr을 사용하자. UObject 에서 포인터는 UPROPERTY를 추가해서 관리하기 쉽도록 하자. 메모리 생성 UObject를 생성할 때는 NewObject 를 사용하자. Actor를 생성할 때는 SpawnActor 를 사용하자. 메모리 해제 UObject 강제 메모리 해제 : UObject::ConditionalBeginDestroy() 함수 호출.(이 후 BeginDestory/FinishDestory 가.. 2022. 12. 26.
작업 중 기억해둘 것들(update). 언리얼얼 Tips 1. 엔진에서 파일 > 새 c++ 클래스.. 로 파일 추가한 다음 경로 변경을 적용하려면 vs 닫고 unreal engine project 파일에서 우클릭 후 Generate Visual Studio project files..를 한다음에 다시 열기. vs 빌드 후 에디터를 켜면 파일 경로 변경이 적용됨. .vs, Binaries, Intermediate, Saved, .sin 파일도 삭제를 해야 generate 시에 변경된 내용이 적용됨. (.sin파일, vcsproj.filters 와 vcxproj.user 파일들은 버전관리 대상이 될 필요가 없다는 것) 2. 헤더를 깜박하고 include 하지 않으면 여러가지 문제가 생김..휴우.. 3. .h 에서는 클래스 전방선언 해줄 것. 4... 2022.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