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ublic/윈도우즈 시스템3

문자셋(Character Sets)의 종류와 특성 *SBCS(Single Byte Character Set) ;각 문자를 1바이트만을 사용. 아스키코드가 대표적. char 타입으로 표현. 문자열의 마지막에는 1바이트의 null('\0')값이 표시됨. *MBCS(Multi Byte Character Set) ;아스키코드를 제외한 문자는 2바이트로 처리. 영문자 1바이트 한글 문자 2바이트. char 타입으로 표현. 문자열의 마지막에는 한 바이트의 null('\0')값이 표시됨. *WBCS(Wide Byte Character Set) ;모든 문자를 2바이트 처리. 유니코드가 속함. 유니코드의 경우 wchar_t 타입으로 표현. 문자열의 마지막에는 2바이트의 null('\0')값이 표시됨. *문자 관련 타입들 LP는 long pointer를 나타내는 약어. .. 2019. 9. 19.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 _ 단계 1. 전처리기에 의한 치환작업 ;#include, #define 같이 #으로 시작하는 지시자의 지시에 따라서 소스코드를 적절히 변경하는 작업. 단계 2. 컴파일러에 의한 번역 ;소스코드는 컴파일러에 의해서 어셈블리 코드로 변역됨. 단계 3. 어셈블러에 의한 바이너리 코드 생성 ;1과 0으로만 구성되는 코드. 단계 4. 링커에 의한 연결과 결합 ;프로그램 내에서 참조하는 함수나 라이브러리들을 하나로 묶는(혹은 연결시켜 주는)작업을 함. 실행파일 생성. 메인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를 CPU 내부로 가져오고(Fetch), 컨트롤 유닛에 의해 분석된 다음(Decode), ALU에 의해 연산이 이뤄진다(Execution). 단계 1. Fetch ; 메모리상에 존재하는 명령어를 CPU로 가져오는 작.. 2019. 9. 10.
컴퓨터 하드웨어의 구성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연산 담당. ALU(Arithmetic Logic Unit) ;CPU 내부에서 실제 연산을 담당하는 블록(덧셈이나 뺄셈 같은 산술 연산, AND나 OR같은 논리 연산) 컨트롤 유닛(Control Unit) ;CPU가 처리해야 할 명령어들을 해석하고 결과에 따라 적절한 신호를 CPU의 다른 블록으로 보낸다. 레지스터들(Register Set) ;CPU 내부에도 임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조그마한 메모리 공간. CPU 종류에 따라 개수와 형태가 다양함. 버스 인터페이스(Bus Interface) ;CPU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레지스터에) I/O 버스에 실어 보내기도 하고 I/O 버스를 통해서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들을 수신.. 2019. 9. 10.